본문 바로가기
728x90
[미라클모닝] 5주차. 02/06~02/12 29일차. 02/06 내가 하고있는 것들에 대해 자신이 없어지거나 미래가 불분명하게 느껴지고 내가 지금 잘하고 있는 게 맞나 자꾸만 의심이 드는 때가 있다. 최근에 그런마음이 좀 있었다. 원래 같았으면 또 우울해져서 공부가 손에 안 잡혔을 것이다. 하지만 요즘은 미라클모닝하면서 규칙적으로 살고있고 하루 루틴이 대략적으로 잡혀있다 보니, 많은 노력을 들이지 않고도 할 일들을 시작하고 해낼 수 있었다. 큰 기복 없이 꾸준히 내 할 일들을 해냈다. 이번 방학때 미라클모닝을 시작해서 다행이고 참 잘한 일이라고 생각한다. 그리고 내가 지금 가는 길이 맞는지 의문이 들고 불안한 마음이 생기는 것도 내가 열심히 살고 있다는 반증이라고 생각한다. 오히려 멈춰있으면 그런 의문도 안 드니까.. 그러니까 너무 걱정말고 내일.. 2022. 2. 5.
[알고리즘 개념정리] 8. 그래프/그래프 탐색 **본 포스팅은 22Winter 신촌캠프 초급반 강사 dart님의 강의를 참고하여 작성하였습니다.** 그래프 정점(vertice)의 집합 V와 간선(edge)의 집합 E로 이루어지며 보통 (V,E)로 표기한다. 각각의 간선은 두 정점의 쌍으로 나타낸다. 간선에 방향이나 가중치가 부여되는 경우도 있다. 관련 용어 무방향/방향 그래프, 인접, 사이클, 가중치 그래프, 연결 그래프(정점들이 모두 이어져있는 그래프) 간선 표현 방법 인접 리스트 vector adj[100005]; : 간선 개수에 비례하는 메모리만 차지 but 연결성 여부 판단 O(V) 대부분의 경우 정점 개수가 꽤 많기 때문에 인접 리스트가 유리하다. 인접 행렬 int adj[1005][1005]; : 연결성 여부 판단 O(1)에 가능 but .. 2022. 2. 5.
[노드/리액트 기초] #18~20. CRA 구조, Boilerplate, React Router Dom **본 포스팅은 유튜브&인프런 John Ahn님의 노드 리액트 기초 강의를 참고하여 작성하였습니다.** Create React App 구조 webpack 은 src 폴더는 관리해주는데 public 폴더는 관리하지 않는다. 따라서 앱에 이미지 파일을 넣고 싶으면 src 안에 넣어야 webpack이 모아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. CRA to Our Boilerplate HOC component들을 갖는 function이다. Auth라는 HOC가 있다고 해보자. (Auth = 어떤 사람이 자격이 있는지 없는지 체크하는 것) admin component에 관리자만이 들어갈수있고 일반인은 못 들어가면 auth에서 이사람이 관리자인지 아닌지를 체크해서 들어올 수 있게 / 들어오지 못하게 하는 역할을 해준다. 로그인.. 2022. 2. 5.
[노드/리액트 기초] #15~17. React JS, Create-React-App, NPM vs NPX **본 포스팅은 유튜브&인프런 John Ahn님의 노드 리액트 기초 강의를 참고하여 작성하였습니다.** 리액트 프레임워크가 아니라 라이브러리이다. (참고: https://canoe726.tistory.com/23) 컴포넌트(element)로 이뤄져서 재사용성이 뛰어나다. 묘듈화한 파일을 여러 곳에서 사용할 수 있다. 리액트는 virtual DOM을 만들어서 관리하기 때문에 훨씬 빠르게 한 부분만을 변경할 수 있다. (참고: https://velog.io/@gwak2837/React-Virtual-DOM-%EC%9D%B4%ED%95%B4%ED%95%98%EA%B8%B0) Create-React-App 원래는 Babel, Webpack 등을 설정해줘야 하지만 이제는 create-react-app으로 리액트 .. 2022. 2. 5.
[노드/리액트 기초] #13~14. Auth 기능, 로그아웃 기능 만들기 **본 포스팅은 유튜브&인프런 John Ahn님의 노드 리액트 기초 강의를 참고하여 작성하였습니다.** Authentication 우리가 어떤 사이트에 들어가면 그 사이트에 여러 가지 페이지들이 있는데, 어떤 페이지는 로그인된 유저만 이용할 수 있고 다른 페이지는 로그인하지 않아도 누구나 이용할 수 있기도 한다. 글을 작성할 때도 로그인된 유저만 작성가능 할 때도 있고 관리자만 이용할 수 있는 기능도 있다. 이러한 것들을 하나하나 체크하기 위해서 auth기능이 필요하다. client입장에서는 토큰을 쿠키에 넣어주고, server입장에서는 user DB에 넣어준다. 이 두가지 토큰이 일치하는지 계속해서 체크해주면 된다. 클라이언트에 담겨있는 쿠키를 서버에 전달하면 서버에서 그 토큰을 secret strin.. 2022. 2. 5.
[노드/리액트 기초] #11~12. 로그인 기능 with Bcrypt, 토큰 생성 with jsonwebtoken **본 포스팅은 유튜브&인프런 John Ahn님의 노드 리액트 기초 강의를 참고하여 작성하였습니다.** 로그인 기능을 만들기 위해서는 먼저 login route가 필요하다. login route에서 하는 일은 다음과 같다. 토큰은 유저id와 secret string으로 만든다. 생성된 토큰을 쿠키나 로컬스토리지에 저장 할 수 있다. 2022. 2. 5.
728x90